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브리엘 데일먼

덤프버전 :

가브리엘 데일먼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캐나다선수권 여자 싱글 챔피언
파일:캐나다 피겨 선수권.png
케이틀린 오스먼드
(2014)
가브리엘 데일먼
(2015)
알레인 샤트랑
(2016)
케이틀린 오스먼드
(2017)
가브리엘 데일먼
(2018)
알레인 샤트랑
(2019)


파일:gabrielle_daleman.jpg
이름가브리엘 데일먼(Gabrielle Daleman)
국적
파일:캐나다 국기.svg

출생1998년 1월 13일 (26세)
온타리오 주 토론토
신체152cm
종목피겨 스케이팅
코치리 바켈
소속그래닛 클럽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2011-12 시즌
2.2. 2012-13 시즌
2.3. 2013-14 시즌
2.4. 2014-15 시즌
2.5. 2015-16 시즌
2.6. 2016-17 시즌
2.7. 2017-18 시즌
2.8. 2018-19 시즌
2.9. 2019-20 시즌
2.10. 2020-21 시즌
2.11. 2021-22 시즌
2.12. 2022-23 시즌
3. ISU 공인 최고점수
4. 프로그램
5. 커리어



1. 개요[편집]


캐나다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금메달리스트이다.
토룹 점프가 강점이며,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주무기로 가지고 있다. 3T+3T 컴비네이션을 매우 빠른 점프 진입 속도[1]와 높은 점프 높이, 비거리로 가산점 만점을 받을때가 굉장히 많아 다른 트리플 컴비네이션 점프에 비해 낮은 기본점수를 충분히 커버한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11-12 시즌[편집]


주니어 데뷔 가능 연령이 되었으나,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2012 캐나다 주니어선수권에서 우승하고, 챌린지 컵 주니어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2. 2012-13 시즌[편집]


2012 JGP 오스트리아에서 6위를 하며 주니어 국제대회 데뷔를 했다. 2012 JGP 독일에서는 5위를 했다.
2013 캐나다선수권에는 시니어 부문으로 참가하여 2위를 했다. 2013 월드 팀 트로피에 참가함으로서 시니어 국제대회에도 데뷔했다. 개인 11위, 팀 2위를 기록했다.


2.3. 2013-14 시즌[편집]


2013 JGP 폴란드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메달을 얻었다. 2013 JGP 에스토니아에서는 4위를 하며 연속 메달에는 실패했다.

2014 캐나다선수권에서는 2위를 차지하며 올림픽 출전권을 얻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는 개인전에만 참가해 17위를 기록했다. 2014 세계선수권에서 13위를 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4. 2014-15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2014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쟉했다. 2014 컵 오브 차이나에서 5위를 하며 시니어 그랑프리 무대에 데뷔했다. 2014 NHK 트로피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015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처음으로 우승했다. 2015 사대륙선수권2015 세계선수권에서는 9위와 21위를 기록했다. 2015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8위, 팀 4위를 기록했다.


2.5. 2015-16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 4위를 했다. 2015 스케이트 캐나다2015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는 5위와 6위[2]를 기록했다.
2016 캐나다선수권에서 2위를 했으나 2016 사대륙선수권은 부상으로 기권하였다. 이후 2016 세계선수권에 참가해 9위를 기록했다. 비공인 대회인 팀 챌린지 컵에 북아메리카 팀으로 참가하여 개인 8위, 팀 1위를 기록했다.


2.6. 2016-17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2016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2016 스케이트 아메리카2016 트로피 드 프랑스에서는 모두 4위를 했다. 2017 캐나다선수권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2017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고, 2017 세계선수권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하며 케이틀린 오스먼드와 캐나다 여자 싱글 올림픽 및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3장으로 늘리는데 성공했다. 또한 신채점제 시행 이후 세계선수권에서 메달을 획득한 두번째 캐나다 여자 선수[3]가 되었다.

2017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4위, 팀 4위를 기록했다.


2.7. 2017-18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6위를 했다. 2017 컵 오브 차이나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모두 6위를 했다.
2018 캐나다선수권에서는 3년 만에 우승하며 올림픽 출전권을 얻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프리 경기에 참가하여 3위를 함으로서 팀 우승에 일조했다. 그러나 개인전에서는 쇼트를 잘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리를 망하는 바람에 15위에 머물렀다. 2018 세계선수권에서는 7위를 했다.


2.8. 2018-19 시즌[편집]


이 시즌부터 멘탈 문제로 인해 성적이 좋지 못했다. 챌린저 시리즈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6위를 했으나, 경기 도중 뇌진탕에 걸린 것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따라서 2018 스케이트 캐나다2018 NHK 트로피는 모두 기권했다.

2019 캐나다선수권에서는 5위를 기록하여 사대륙선수권은 참가할 수 없었으나, 캐나다 연맹이 2019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부여하여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순위는 11위를 기록했다. 2019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프리 웜업 도중 로린 르카블리에와 충돌하여, 부진한 경기를 펼쳤다. 순위는 개인 9위, 팀 5위를 기록했다.


2.9. 2019-20 시즌[편집]


전 시즌처럼 멘탈문제와 부상에서 회복되지 못하였다. 챌린저 시리즈 어텀 클래식을 기권하고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13위를 했지만 랭킹 포인트는 획득하지 못했다. 2019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10위, 2019 컵 오브 차이나는 기권하여 랭킹 포인트는 획득하지 못했다. 2020 캐나다선수권 직전에는 폐렴에 걸려, 대회에서도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8위를 기록했다.


2.10. 2020-21 시즌[편집]


2번의 캐나다선수권 예선에서 3위를 했으나, 코로나로 인해 2021 캐나다선수권이 취소되었다. 국제대회로는 2021 월드 팀 트로피에 참가하여 개인 10위, 팀 6위를 기록했다.


2.11. 2021-22 시즌[편집]


2021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8위, 2021 CS 바르샤바 컵에서 7위를 기록했다. 2022 캐나다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22 사대륙선수권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


2.12. 2022-23 시즌[편집]


2022 스케이트 캐나다에 배정받아 쇼트에서 좋은 경기력으로 66.65점을 받았다. 하지만 프리에서 실수를 연발하며 104.96점을 받아 총점 171.61점으로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이후 2022 MK 존 윌슨 트로피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후반부의 트리플 러츠에서 넘어져 58.95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프리에서 점프에서 5차례의 실수가 나와 104.82점으로 8위를 기록했고, 총점 163.77점으로 최종 8위를 기록했다.

3.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69.19(2019 세계선수권)
프리123.48(2019 세계선수권)
총점192.67(2019 세계선수권)


4.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22-2023Diamonds
by 리아나
Tzigane, M. 76
by 모리스 라벨
Variation on Dark Eyes
by Lara St.John
-
2021-2022리베르탱고
by 아스토르 피아졸라
삼손과 데릴라
by 카미유 생상
2020-2021아바네라(카르멘)
by 조르주 비제
2019-2020Jazz Man
by Beth Hart
It’s All Coming Back To Me Now
by 셀린 디옹
I have Nothing
by 휘트니 휴스턴
2018-2019아바네라(카르멘)
by 조르주 비제
삼손과 데릴라
by 카미유 생상
2017-2018랩소디 인 블루
by 조지 거슈윈
Confident
by 데미 로바토
Gladiator Rhapsody
by 랑랑, 한스 짐머
2016-2017Hérodiade
by 쥘 마스네
랩소디 인 블루
by 조지 거슈윈
Gold
by 프랭크 와일드혼, 난 나이튼
Confident
by 데미 로바토
007 스카이폴
by 아델
2015-2016You'll Have to Swing It
by 샘 코슬로
Maira de Buenos Aires
by 아스토르 피아졸라
Break Free
by 아리아나 그란데
2014-2015Winter 3
by 안토니오 비발디
아랑훼즈 협주곡
by 호아킨 로드리고
Pure Imagination,
Don't Rain On my Parade
아트 온 아이스
by 에드빈 마톤
알레그로 렌토
by 안토니오 비발디
2013-2014Cancion Triste
by 제시 쿡
폴로베츠인의 춤
Notturno
by 알렉산드르 보로딘
-
Angelica
by 로드리고 이 가브리엘라
2012-2013아바타
by 제임스 호너
Piano Trio Opus 90 Dumky
by 안토닌 드보르자크
2011-2012-Asturias
by Isaac Albéniz


5. 커리어[편집]


올림픽
금메달2018 평창단체전
세계선수권
동메달2017 헬싱키여자 싱글
사대륙선수권
은메달2017 강릉여자 싱글
월드 팀 트로피
은메달2013 도쿄단체전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1–12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22–23
올림픽17th15th
세계선수권13th21th9th3rd7th11th
사대륙선수권7thWD2nd10th
GP MK 존 윌슨 트로피8th
GP 스케이트 아메리카4th6th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6th4th
GP 스케이트 캐나다5thWD10th10th
GP NHK 트로피6thWD
GP 컵 오브 차이나5th6thWD
CS 바르샤바 컵7th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6th
CS 핀란디아 트로피6th13th
CS 네벨혼 트로피3rd
CS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4th
CS 어텀 클래식1stWD8th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6th
JGP 에스토니아4th
JGP 폴란드3rd
JGP 독일5th
JGP 오스트리아6th
챌린지 컵2nd J
국내대회
캐나다선수권1st J2nd2nd1st2nd2nd1st5th8thC3rdWD
SC 챌린지3rd J3rd1st3rd1st
온타리오 주 예선3rd2nd
단체전
올림픽1st T
3rd P
월드 팀 트로피2nd T
11th P
4th T
8th P
4th T
4th P
5th T
9th P
6th T
10th P
팀 챌린지 컵1st T
8th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C=취소, J=주니어, T=팀 결과, P=개인 결과
[1] 날아간다고 표현해도 될 수준의 속도로 진입하며, SBS의 이호정 캐스터는 너무 빨라 무조건 넘어질 정도의 속도로 진입함에도 좋은 퀄리티로 랜딩하는 것에 감명을 표했다.[2] 파리 테러로 인해 프리 경기가 취소되어, 쇼트 순위로 최종 결과를 냈다.[3] 케이틀린 오스먼드와 공동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2:37:30에 나무위키 가브리엘 데일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